728x90
반응형

o 파이팅 혼공 스피드 암기노트 

1 https://www.youtube.com/watch?v=sMMRRGkInDU&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19&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2 https://www.youtube.com/watch?v=2sBYfpDAhHY&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20&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3 https://www.youtube.com/watch?v=rI_5WKV2KS0&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21&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4 https://www.youtube.com/watch?v=iGcHZey5Ik4&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22&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5 https://www.youtube.com/watch?v=adDJ1gKtyBE&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23&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6 https://www.youtube.com/watch?v=PlcHpuEEiBI&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24&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7 https://www.youtube.com/watch?v=PlcHpuEEiBI&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24&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8 https://www.youtube.com/watch?v=AxkstpZuY9k&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26&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9 https://www.youtube.com/watch?v=-Csjl-OtXwQ&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27&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10 https://www.youtube.com/watch?v=bcaLeClYyrk&list=PLjVB746mgN6NMd5w9CSuex4OspYroT_mh&index=28&ab_channel=%ED%8C%8C%EC%9D%B4%ED%8C%85%ED%98%BC%EA%B3%B5TV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필답형

 

년도 URL
   

 

작업형

 

년도 URL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필답형

 

년도 URL
2024년
(4.27)
https://www.youtube.com/watch?v=q19KWfXWZdY&t=23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작업형

 

년도 URL
2024년
3회
https://www.youtube.com/watch?v=5l9SddurQt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2023년 부터 시험이 pbt(종이출력 시험)에서 cbt(컴퓨터 시험)으로 바뀌였기 때문에

2023년 이후 기출문제는 의미 없음(문제은행식으로 나옴)

 

2025년 1, 2, 3회 기출 동영상

 

에듀윌 회원가입후 산업안전기사 검색하여 강의실 입장

 

https://book.eduwill.net/pds/movieList.action

 

에듀윌 도서몰

이번달 Best 강의 총 3457915명이 에듀윌 무료 강의로 공부하셨습니다.

book.eduwill.net

(에듀윌 사이트 아이패드로 볼때는 크롬을 모바일버젼으로 보기로 해야 동영상이 보임) 아쿠아 플레이어

 

2022년 ~ 2024년 기출문제 풀이 동영상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파이팅 혼공

 

https://youtube.com/channel/UCgqpPXo9D8b6TzvN6SBXkOA?si=ZPDmOUgmVLidUDGF

 

파이팅혼공TV

대한민국 No.1 혼공지원 교육컨텐츠 채널 합격으로 가는 지름길이 되겠습니다! 구독을 눌러주시면 빠르게 채널을 찾을 수 있겠죠? 더 좋은 컨텐츠로 여러분의 혼공과 함께 하겠습니다. 파이팅혼

www.youtube.com

 

 

구분 링크
2024 지게차 기능사 필기 빈출모의고사 5회분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jVB746mgN6OruY8KIisrAS3zI7BG25AJ&si=BFjADrkdLsbgPrVM
지게차 운전 기능사 필기 스피드 기출문제 100제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jVB746mgN6OruY8KIisrAS3zI7BG25AJ&si=whtavjgZ2P6n2ElW
지게차 운전 기능사 필기 (들어서 푸는 모의고사 1회)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jVB746mgN6OruY8KIisrAS3zI7BG25AJ&si=g1-_xmk8qsaGR0Y-
지게차 운전 기능사 필기 (들어서 푸는 모의고사 2회)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jVB746mgN6OruY8KIisrAS3zI7BG25AJ&si=wUbD_fJe2bOoOs1f
지게차 운전 기능사 필기 (들어서 푸는 모의고사 3회) https://youtu.be/XKqcEVAuu7o?si=xPp3mFVCP648kChB
지게차 운전 기능사 필기 (들어서 푸는 모의고사 4회) https://youtu.be/62clLGu0o2E?si=ZehrwkA0ofHLtxTj
지게차 운전 기능사 필기 (들어서 푸는 모의고사 5회) https://youtu.be/Qjfi-oZzcNA?si=hg_p1scHbjiF16IR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영천전투 - 향로위치 (4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향로파괴

- 왼쪽 1개

- 위쪽 중간 (위, 아래)

- 오른쪽 1개

 

완성전투 - 향로위치 (2개)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2022년 ~ 2016년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풀이

 

출처 : https://www.youtube.com/@%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최쌤의산업안전특강

 

www.youtube.com

 

2022년

 

회차 링크  
2022년 1회 https://www.youtube.com/watch?v=iYgf7oQxUGg&t=320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1-60번
https://www.youtube.com/watch?v=ip6vdMHeTso&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61-120번
2022년 2회 https://www.youtube.com/watch?v=OUsqJKIQy7g&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1-60번
https://www.youtube.com/watch?v=Ias-P6fNgdM&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61-120번

 

 

2021년 

 

년도  
2021년 1회 https://www.youtube.com/watch?v=35_sbS19f6k&t=124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m0XQwQ-seVY&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21년 2회 https://www.youtube.com/watch?v=S8STyx0ziiw&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PGhsnbnnTTY&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21년 3회 https://www.youtube.com/watch?v=np1624e8Tzo&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glXrdfdXPEc&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20년 

 

년도  
2020년 1회
(1,2회 통합)
https://www.youtube.com/watch?v=U3oKYqxI3Qw&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JG770e1P8gI&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20년 3회 https://www.youtube.com/watch?v=uFJJ0W1y6dE&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m_DlIeG35B0&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20년 4회 https://www.youtube.com/watch?v=KRmozaHlgVc&t=20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RrXTb2tv_o8&t=2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9년 

 

년도  
2019년 1회 https://www.youtube.com/watch?v=W3irIe0hnfo&t=81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lnTnS-7IXGM&t=14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9년 2회 https://www.youtube.com/watch?v=91qXHz7n9kY&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NsyprMHcSGc&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9년 3회 https://www.youtube.com/watch?v=pBS-j_PpSLs&t=863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DQ8KasePdf0&t=41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8년 

 

년도  
2018년 1회 https://www.youtube.com/watch?v=F4bBu0-v6n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1YW-2YsFdBA&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8년 2회 https://www.youtube.com/watch?v=4nv315yZlZM&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joY5yyRUfyE&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8년 3회 https://www.youtube.com/watch?v=piWu1Mq-lXE&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https://www.youtube.com/watch?v=nS8rlAh4U0w&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7년 
년도  
2017년 1회  
 
2017년 2회  
 
2017년 3회  
 

 

2016년 
2016년 1회 https://www.youtube.com/watch?v=3waZ6NhT5fU&t=18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6년 2회 https://www.youtube.com/watch?v=yg7wf_EjFNo&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6년 3회 https://www.youtube.com/watch?v=Td3FzZqTbOk&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21년 ~ 2016년 

 

https://www.youtube.com/watch?v=fIRkte_Hi3A&list=PLg9Q2Qm1pChpDJUlRVB-8gW-EOANkmIVA&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o 산업안전기사 필기 2019년 이전 동영상

 

o 정재수의 안전닷컴 https://www.youtube.com/@%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산업안전기사 정재수

 

www.youtube.com

 

 

o 검색방법 

산업안전기사 정재수 유투브 사이트 접속후에  검색

2015년 1회 산업안전기사
2015년 2회 산업안전기사
2016년 3회 산업안전기사

이런식으로 검색하면 다 나옴

 

2015년
년도(회차) 과목 동영상
2015년 1회 2015년 1회 1강(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JF7HEeZvDIg&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1회 2강(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tG6HfLd2-Os&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1회 3강(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QKTB8vYeiKs&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1회 4강(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xKlBw-3h2b8&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1회 5강(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SzTxcy1HGXA&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1회 6강(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39fyzv1tB0g&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2회 2015년 2회 1강 (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PUcQeIzFek4&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2회 2강(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L8227IoMgQw&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2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7Kd-Mz4JisY&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2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1U5sAId1pLg&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2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WJ0pJlCXPHk&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2회 6강(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xaTeSrfeWlI&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3회 2015년 3회 1강  (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n0qpbsnVrZw&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3회 2강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9rTTlorcbY4&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3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BIsQPGu36TY&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3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OhXRbyG3n8o&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3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K-1r3mdap_Q&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5년 3회 6강 (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sFDtjhWy9Do&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년도(회차) 과목 동영상
2016년
1회
2016년 1회 1강(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OuV1-o1QpwI&t=202s&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1회 2강(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LOv9cgHVRAE&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1회 3강(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LLCczsX-PZQ&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1회 4강(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U0b4hEoqk6w&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1회 5강(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FXiKtOfxy8o&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1회 6강(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QUuxDAkRsDI&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2회
2016년 2회 1강 (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slTNVaRpI58&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2회 2강(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mVsBLoTEDRo&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2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ZIE14A6eVgc&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2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RIKfEUeqri0&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2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osa59ovALG4&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2회 6강(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Ito9LHYmcSo&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3회
2016년 3회 1강  (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UUa81SG9haY&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3회 2강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Xq21ta4_pv0&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3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yFGfxpp9L2g&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3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YGHM5ELHrTc&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3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1nvfhvz39Z4&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6년 3회 6강 (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p5DgXD8z5NA&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년도(회차) 과목 동영상
2017년
1회
2017년 1회 1강(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KCcyNrT_Akk&list=PLi4aqBaGPxXrBmvGYdXOC3PEbCJL---2E&index=1&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1회 2강(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https://youtu.be/Wv2A5DP_8f8?si=NSfHXcu_1r-ZvBu9
2017년 1회 3강(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SFQotWeNg2I&list=PLi4aqBaGPxXrBmvGYdXOC3PEbCJL---2E&index=3&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1회 4강(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_0lM4H3cNhQ&list=PLi4aqBaGPxXrBmvGYdXOC3PEbCJL---2E&index=4&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1회 5강(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y5csIwdoIm0&list=PLi4aqBaGPxXrBmvGYdXOC3PEbCJL---2E&index=5&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1회 6강(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07lvbriiIac&list=PLi4aqBaGPxXrBmvGYdXOC3PEbCJL---2E&index=6&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2회
2017년 2회 1강 (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M7MmNSqZMJk&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2회 2강(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AY0Ul1jcWkE&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2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iM69f5Xrkyw&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2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t0hfkDbNVhM&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2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t0hfkDbNVhM&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2회 6강(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huZxInovta0&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3회
2017년 3회 1강  (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LRxubxSRRI&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3회 2강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9G78l0YTDk4&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3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j1LS_4gNhKo&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3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j1LS_4gNhKo&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3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j1LS_4gNhKo&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7년 3회 6강 (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1JGoVyUO-YQ&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구분 과목 동영상
2018년
1회
2018년 1회 1강(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RQ0T-_buh0Y&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1회 2강(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zPPhV8GhYT4&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1회 3강(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bf61WnsEwBY&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1회 4강(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3G7ePDoo8cg&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1회 5강(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WW9706pxrEs&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1회 6강(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C-MFghE6sKw&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2회
2018년 2회 1강 (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349Ytsn3AbY&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2회 2강(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OjTAJQmehGs&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2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OjTAJQmehGs&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2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OjTAJQmehGs&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2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EDsR0l030yQ&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2회 6강(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rnptkaSxOLM&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3회
2018년 3회 1강  (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fjwVpXuUhCg&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3회 2강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JjO5if-RZsc&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3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BZ0fzr1geRU&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3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BZ0fzr1geRU&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3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E1fOuet-GBQ&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8년 3회 6강 (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KqatzFbYZaA&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시행일자(회차) 동영상
2019년
1회
2019년 1회 1강(안전관리론) https://www.youtube.com/watch?v=lnDY8zIZJo4&t=3s&ab_channel=%EC%95%88%EC%A0%84%EC%9D%80%3F%EC%A0%95%EC%9E%AC%EC%88%98%21
2019년 1회 2강(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공학) https://www.youtube.com/watch?v=UbOCLp2LFfk&ab_channel=%EC%95%88%EC%A0%84%EC%9D%80%3F%EC%A0%95%EC%9E%AC%EC%88%98%21
2019년 1회 3강(기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Z2NO-1s_4GM&ab_channel=%EC%95%88%EC%A0%84%EC%9D%80%3F%EC%A0%95%EC%9E%AC%EC%88%98%21
2019년 1회 4강(전기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KD_0FSWpN2s&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1회 5강(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QTWr1wURUuI&ab_channel=%EC%95%88%EC%A0%84%EC%9D%80%3F%EC%A0%95%EC%9E%AC%EC%88%98%21
2019년 1회 6강(건설안전기술) https://www.youtube.com/watch?v=XyoGbRZ6ET0&ab_channel=%EC%95%88%EC%A0%84%EC%9D%80%3F%EC%A0%95%EC%9E%AC%EC%88%98%21
2019년
2회
2019년 2회 1 https://www.youtube.com/watch?v=91qXHz7n9kY&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9년 2회 2 https://www.youtube.com/watch?v=NsyprMHcSGc&t=17s&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9년
3회
2019년 3회 1강  (안전관리론) 안전관리론 없음 (최샘) 기출문제 1번 ~ 20번 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pBS-j_PpSLs&list=PLg9Q2Qm1pChpDJUlRVB-8gW-EOANkmIVA&index=32&ab_channel=%EC%B5%9C%EC%8C%A4%EC%9D%98%EC%82%B0%EC%97%85%EC%95%88%EC%A0%84%ED%8A%B9%EA%B0%95
2019년 3회 2강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1 https://www.youtube.com/watch?v=NrrhPSgd6zM&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3회 2강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 https://www.youtube.com/watch?v=K61f-F7dd9o&t=4s&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3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1 https://www.youtube.com/watch?v=Zb0QCGqt_ig&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3회 3강 (기계위험방지기술) 2 https://www.youtube.com/watch?v=T8AWhb52vkY&ab_channel=%EA%B0%80%EC%98%A8%EC%8A%A4%ED%84%B0%EB%94%94%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
2019년 3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1 https://www.youtube.com/watch?v=4gRtxiJGyAI&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3회 4강 (전기위험방지기술) 2 https://www.youtube.com/watch?v=1R9OyoV4iF0&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3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1 https://www.youtube.com/watch?v=2Cm8w43CmcQ&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3회 5강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2 https://www.youtube.com/watch?v=CISOYq6i4b0&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3회 6강 (건설안전기술) 1 https://www.youtube.com/watch?v=iWGZtkgILtI&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2019년 3회 6강 (건설안전기술) 2 https://www.youtube.com/watch?v=vOo-6G23YQU&ab_channel=%EC%82%B0%EC%97%85%EC%95%88%EC%A0%84%EA%B8%B0%EC%82%AC%EC%A0%95%EC%9E%AC%EC%88%98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1.전기자기학
2.전력공학
3.전기기기
4.회로이론및제어공학
5.전기설비/법규

ㅁ 수강순서 : 1.전기자기학 / 4.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3. 전기기기 2. 전력공학


[전기기사]귀에쏙쏙! 필기-전기자기학(이진우교수)(참고도서제공)                   72,400
[전기기사]귀에쏙쏙! 필기-전력공학(이진우교수)(참고도서제공)                     72,400
[전기기사]귀에쏙쏙! 필기-전기기기(이진우교수)(참고도서제공)(참고도서제공)       72,400
[전기기사]귀에쏙쏙! 필기-회로이론1(이진우교수)(참고도서제공)                    72,400
[전기기사]귀에쏙쏙! 필기-회로이론2(이진우교수)                                  57,400
[전기기사]귀에쏙쏙! 필기-제어공학(이진우교수)(참고도서제공)                     72,400
[전기기사]귀에쏙쏙! 필기-전기설비기술기준(이진우교수)(참고도서제공)             72,400

728x90
반응형
LIST

'자격증 >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전기기사 필기 이론  (0) 2024.11.17
728x90
반응형

유투브(YouTobe) 동영상 다운로드 4K Video Downloader

 

 

 

HKEY_CURRENT_USER\Software\4kdownload.com\4K Video Downloader+\Limits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안내표지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0BYwzVb-Gws&list=PLBIu55FoEnYgplhnKODPNx6bFgUt66zb8&ab_channel=%EB%82%98%EB%88%94CBT

 

산업안전기사게산문제.pptx
5.39MB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  CATALOG 

CATALOG  
     
     

 

출처 : https://cview.co.kr/default/index.php

 

카시오계산기

 

cview.co.kr

 

fx-570CW_991CW_KO.pdf
3.07MB

 

 

 

o % 입력

 

 

[전기] 1. 5마력을 와트(W) 단위로 환산하면 ?

   5 ▶ CATALOG ▶ Unit Conversions ▶ power  5hp - kw = 3.7284

 

[전기] 열량을 표시하는 1칼로리(cal)는 몇 줄[J] 인가 ?

   1 ▶ CATALOG ▶ Unit Conversions ▶ Energe ▶ 1cal = J = 48156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공부할때 참고하면 좋아요

 

출처 : https://www.kosha.or.kr/kosha/index.do  (자료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국민과 함께하는 산업안전보건 종합솔루션 전문기관

www.kosha.or.kr

 

2024년 만화로 보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https://drive.google.com/file/d/1YI8z3TmAIa6wuIMtTvI6eyiX9PEUdYCY/view?usp=drive_link





 

 

 

 

2016년 만화로 보는 산업안전보건법

https://drive.google.com/file/d/1U8bDGPAv8i4XNrwPZTfaMsKzeHhvhIdH/view?usp=drive_link

 

2016_만화로 보는 산업안전보건법(인쇄용).pdf

 

drive.google.com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1. 전기의 다누이

 

      비고  
전압 V(볼트) 전기를 흐르게 하는 압력 수압  
전위 V(볼트)   수위  
전류 A(암페어) 전선속에 매초 동안 흐르는 전기의 양 수량 전류(A) = 전력(W) / 전압(V)
전력 W(와트) 전기가 흐르면서 1초 동안 하는 일의 양 소비전력 전력(W) = 전압(V) X 전류(A)
전하   (+) 나 (-) 에너지   O 정전기력(쿨롱힘)
+ + 반발
-  - 반발
+ - 끌어당김   
도체   전기가 통함   금속
부도체(전열체)   전기가 안통함   유리, 고무
반도체 
(도체 - 부도체 중간)
  중간성질    
대전상태   (-)의 전가가 (+) 쪽으로 이용해서 
전기적 성질을 잃게 되면 방전
   
         
         
         

 

전기요금 명세서 kW/h(킬로와트) = 전력량(소비 전력량)

 

1200W의 전기기구를 두시간 동안 쓴량  1200W x 2시간 = 2400W/H = 2.4kW/h

 

O 가정용 30A

- 전기포트 700W ÷ 220V = 3.2A

- 전기밥솥 1230W  ÷  220V = 5.6A

- 다리미 1450W ÷ 220 V = 6.6A

- 스팀청소기 800W ÷ 220V = 3.6A

 

 

 

 

 

 

 

 

 

 

 

비고 

전압 V(볼트) 전기를 흐르게 하는 압력 수압 

전위 V(볼트) 

수위 

전류 A(암페어) 전선속에 매초 동안 흐르는 전기의 양 수량 전류(A) = 전력(W) / 전압(V)

전력 W(와트) 전기가 흐르면서 1초 동안 하는 일의 양 소비전력 전력(W) = 전압(V) X 전류(A)

 

 

전기요금 명세서 kW · h(킬로와트) = 전력량(소비 전력량)

 

 

 

1200W의 전기기구를 두시간 동안 쓴량 1200W x 2시간 = 2400W · H = 2.4kW · h

 

 

 

O 가정용 30A

 

- 전기포트 700W ÷ 220V = 3.2A

 

- 전기밥솥 1230W ÷ 220V = 5.6A

 

- 다리미 1450W ÷ 220 V = 6.6A

 

- 스팀청소기 800W ÷ 220V = 3.6A

 

 

·

 

 

ㅁㄱㄴㄷㄹㅁ

728x90
반응형
LIST

'자격증 >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과목  (0) 2025.01.18
728x90
반응형
작성 전 준비사항

 

1. LTS(Lint Type scale) : 20 선종류 축척, 선의 촘촘한 정도

2. LAYER  (굵기 2 - 4 - 2 - 3 - 1 -3)

1-CEN 빨강 0.2mm 중심선, 치수 기입
2-CON 노랑 0.4mm 단면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벽돌, 지붕 테두리 등
3-ETC 초록 0.2mm 수목, 가구, 난간, 홈통, 각종 철물, 재료분리선, 기화, 방수
4-WIN 하늘 0.3mm 창문, 방문, 현관문, 각종 창호
5-FIN 파랑 0.1mm(기본) 마감선, 재료표현(Hatch), 창호 등 요철 표현
6-TEXT 흰색 0.3 문자, 치수, 단면도 상의 입면선

 

 

3. Layer 안에서 선 종류  CENTER, HIDDEN 추가

 

 

4. 간단한 평면도 작성 ( 험당일 에 맞는 규격으로)

- 중심선 빨강 rec @12900,8100 하여 중심선 설정  

- 건물 외벽 노랑색  ML : 두께 400 (시험지에 두께 표현)

- 건물 내벽 노랑색  ML : 두께 190 (시험지에 두께 표현)

 

 

 

 

 

 

Hatch 참고

O Hatch 

- 가끔 Hatch 사용시 객체가 겹칠때 앞에 표시되는 경우 있음 이 때 DRAWORDER 명령으로 객채 위/아래 변경

 

구분 구분 각도 간격 이중  
천정 단열재 사용자정의 45 40 O  
바닥1 실내
단열재
사용자정의 45 30 O  
바닥2 실내
단열재
사용자정의 45 30 O  
거실 사용자정의 90 300 -  
실외
G.L 1
사용자정의 45 30 -  
실외
G.L2 
사용자정의 135 30 -  
           

 

 

 

o 평면도 창문

    비고  
스틸창 폭 rec @ 150,50    
스틸 유리 rec @ 50,80 스틸창 위 중심선에서  
우드창 폭 rec @ 100,30    
우드 유리 rec @ 30,60 우드창 위 중심선에서  

 

 

 

표제란 작성

 

 

 

o REC @420,297  / offset 10(안으로) 전역폭 1 (안테두리)
o REC @100,30 / offset 세로 25 / 가로 10으로 쪼갬
o DT - 자리맞추기(J) MC    두 지점사이 중간 설정(Shift + 마우스 오른쪽), -- 글짜크기 3으로  설정해서 수험번호 작성
o circle 9 
o offset 3 (바깥쪽으로 )
o 기존 글짜 복사 하고 A부분 단면상세도는 
   SCALE 2로(2배로 크게 작성)
O 완성된 도면을 2개 복사해서 
   SCALE 을 40으로 설정 (기준선은 도면 왼쪽 제일 하단)
O 오른쪽 도면 
   - SCALE 
   - 객체선택 (오른쪽 도면)
   - 기준 설정 (도면 왼쪽 제일 하단)
   - R 
   - 원래 얼마냐 : 40
   - 얼마로 바꿀래 : 50 엔터

기준점 지정:
축척 비율 지정 또는 [복사(C)/참조(R)]: R
참조 길이 지정 <2.0000>: 40
새 길이 지정 또는 [점(P)] <1.0000>: 50

 

 

O 표제란 작성후 1/40 치수는 D 설정

 

 

 

 

 

  • rec @420,297 (A3) 용지설정

       - offset 10 (도면 안쪽) :  안쪽여백 전역폭 두께 1

  • rec @100,30(표제란 작성)

       - 수험번호 등 작성

 

 

       - circle 반지름(9) 옵셋(3)

  •  
  •  

 

평면도 신속 작성

 

  • ST : 글씨체 Lucida sans unicode
  • DT : 문자높이 200 각도 0 
  • 치수 : D : ISO-25 / 로드 / sysmbols & arrows(기호 및 화살표) 작은점
  • 치수 : Fit // 항상 치수보조선 사이에 문자유지 / 전체 축척사용 단면도 : 40 / 입면도 50

 

  • OSNAP 설정 (직교)

 

 

  • OPTION 설정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 숫자 


게 개인적인 공부를 위하여 일반 개인, 사업자 등의 게시물을 일부 복제한 경우로 혹시나 저작권의 침해가 있다고 판단되시는 경우 글을 남겨 주시면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내력벽의 한 방향의 길이의 합계는 그 층의 바닥면적 1 ㎡에 대하여 0.15m 이상이 되도록 한다.    
물의 중량이 540kg이고 물시멘트비가 60%일 경우 시멘트의 중량은
(시멘트 1,500kg, 철근콘크리트 2,400kg, 무근콘크리트 2,300kg)
540 / 0.6 = 900kg 1,500kg
o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내력벽에서 수직 및 수평철근을 벽면에 평행하게 양면으로 배치하여야 하는 벽체의 최소 두께는? 250mm  
콘크리트 압축강도 인장강도의 1/10  
점토의 압축강도 인장강도의 1/5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평창계수는 같다  
콘크리트 강도는 타설후 28일 압축강도를 기준 조강 7일
알루미나 1일
강재의 인장강도 최대가 되는 온도 (강재 신발 250mm) 약 250℃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 두께는 최소 얼마 이상? 8cm   
 철근콘크리트 내력벽에 배근할 철근 직경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D10   
 철골구조에서 리벳으로 접합하는 판의 총 두께는 리벳지름의 얼마 이하로 하는가?  
 래티스보의 웨브판의 두께 6mm~12mm   
 조적조에서 보를 지지하는 벽돌기둥의 높이는 단면 최소치수의 몇배를 초과해서는 안되는가? 10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있는 콘크리트 피독두께 : 
75mm  
띠철근 수직간격 
띠철근 수직간격 
띠철근 수직간격 
띠철근 지름
-기둥의 최소치수 이하
-(기둥단면의최소폭이하)
기둥주근(종방향 철근지름)의 16배이하
-띠철근 지름의 48배 이하
-지름 6mm 이상의 것 사용
 
부재축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전단철근의 간격은 부재의 0.5D이하
600mm 이하
 
기성콘크리트 말뚝을 다설할 때 말뚝직경(D)에 대한 말뚝중심간 거리 기준  2.5D 또는 750mm  
장변이 단변에 대해  2배  
단변이 장변에 대해 1/2 이하   
철근콘크리트 1방향 슬래브 두께
플랫슬래브의 두께
최소 100mm 이상(10cm)
최소 150mm 이상(15cm)
 

 

  • 슬래브 장변(ly) 단변(lx) : 단위 m 기준  ≤ ≥
장변 ly(m) 단변 lx(m) (ly/lx) 값 변종류 기호  
5 2 2.5 1방향 ly/lx > 2   A가 B보다크다 
4 2 2 2방향 ly/lx ≤ 2   A가B보다 작거나같다
3 2 1.5 2방향 ly/lx ≤ 2   A가B보다작거나같다
  • 장변의 길이가 단변 길이의 2배 미만이면 2방향 슬래브로 분류합니다.
  • 단변이 장변의 1/2 이하
  •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장변(ly), 단변(lx)일 경우 2방향 슬래브에 해당되는 기준은 : ly / lx  2

 

  • 벽돌구조
조적식 구조의 담
조적식 구조의 담의 두께
(조적식 구조의 담길이 2m 이하 일 경우 담의 두께)
3m 이하
190mm 이하
90mm 이하
 
조적조 내력벽의 길이는 ?   최대 10m 이하 최대 10m 이하  
1. 내력벽의 길이의 합계 
2.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 면적은 
3.내력벽은 그 끝 부분과 벽의 모서리 부분에 
4.내력벽의 두께
5.벽 높이, 벽 길이

6.벽량은 내력벽 길이 합계를 그 층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7.좁은 벽보다 긴 벽이 연속된 것이 좋다.
1.그층바닥 면적 1m2 당 0.15m 이상
2.80 ㎡ 이하 
3.12mm 이상 철근 세로로 배치
4.15cm 이상
5.1/16이상, 벽길이1/50이상 중 큰값
6.15cm 이상

보강 콘크리트 블록조 (= 보강 블록조) 의 벽체
내력벽의 한 방향의 길이의 합계는 그 층의 바닥면적 1 ㎡에 대하여 0.15m 이상이 되도록 한다.    
o 보강블록조에서 내력벽의 벽량은 ?  최소 15 cm(150mm)/㎡ 이상  
o 보강콘크리트 블록조 단층에서 내력벽의 벽량은 ? 최소 15 cm(150mm)/㎡ 이상  
o 보강블록조에서 내력벽의 두께는 ?  최소 15 cm(150mm)/㎡ 이상  
바닥면적이 40  일 때 보강콘크리트의 내력벽 길이의 총합계는 최소 얼마  6m 40 ㎡ x 0.15m(150mm 벽량,두께) = 6m
o 조적식구조인 내력벽인 콘크리트 기초판에서 기초벽의 두께 최소 250mm 이상  
o  조적식 구조에서 개구부와 그 바로 윗층에 있는 개구부와의 수직거리 600mm 이상  
o 개구부 상하 배치 : 수직 간격 최소
60cm 이상  
o 최상층 내력벽 높이 :  최대 4m   
벽돌 벽체 두께는 벽 높이의  1/20 이상  
보강블록조는 벽 높이 1/16 이상  
벽돌 기둥 두께 기둥 높이 1/10 이상  
o 1일 벽돌쌓기 높이  1.2m 이내, 최대 1.5m 넘을수 없다(17~20단)  
벽돌조 기초  콘크리트 기초판의 두께 : 기초판 너비 1/3(보통 20~30cm)
- 벽 하부 길이 : 벽두께 2배
- 벽돌 쌓기 각도 : 60도 이상
 
- 테두리보 높이 : 벽
- 1층 
- 2층 테두리보 높이 : 300mm 이상
두께의 1.5배 이상
테두리보 높이 : 250mm 이상
테두리보 높이 : 300mm 이상
 
내력벽 위에 설치하는 테두리보
1층 건축물로서 벽두께가 벽의 높이의 16분의 1 이상이거나 벽 길이가 ( 5 ) 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목조의 테두리보를 설치할수 있다. 

16분의 1이상
벽결이 5미터 이하
 
인방보 -폭 1.8m 넘는 개구부는 철큰콘크리트 웃인방보 설치(양단 20cm 이상 물릴것)
-너비는 내력벽두께보다 크거가 같아야 함,,
 

 

  • 목구조
구분 조건
공극율 참나무의 절대건조비중이 0.95일 때 공극률 38.3% 1-(공극율/평균비중) x 100
1-(0.95/1.54) x 100
함수율 목재의 중량 : 75kg, 전건상태의 중량 : 40kg 85.7% ((목재중량-전건상태중량)/전건상태중량)x100
((75-40)/40)x100
수축율 길이 6m인 생나무가 전건상태에서 길이가 5.4m로 되었다면 수축율 10% (줄어든 길이 / 원래길이) x 100 
(0.6m / 6m) x 100 = 10%
 목재의 비중 평균 1.54%   
섬유포화점 30% (생나무가 건조하여 함수율이 30%가 된 상태)
 가구제의 함수율 10%   
 전건상태  0%  목재를 가열 건조하여 함수율이 0% 인 상태
 10cm x 10cm인 목재를 400kN의 힘으로 잡아당겼을때 끊어졌다면 이 목재의 최대 인장 강도는 ? 40MPa   
목재 반자구조
반자틀간 간격
반자틀받이 간격  

45cm
90cm
 
평가둥과 평기둥 사이 샛기둥 배치 50cm  

 

 

  • 계획, 구조, 기타
 숑바드 드 로브 (병리, 한계, 표준) 8  / 14  / 16     
 키친네트 : 작업대 길이가 2m 내외의 간이 부억, 사무실, 독신용 아파트 2m   
 부억 작업대의 총길이  3m 넘지 않도록 계획   
인보구
근린주구
근린분구
근린주구
20~40호
400~500호
1,600~2,00호

놀이터
유치원
초등학교

고층아파트
초고층아파트
30층 (4 x 30 = 120m)
50층 (4 x 50 = 200m)
 
아파트
엘리베이터
층수 5층 이상
층수 6층 연면적 2,000 ㎡ 이상
 
자가발전기 10초 이내, 30분 이상 축전기(UPS) 30분 이상
피뢰설비 건축물 높이
일반 건축물 보호각
위험 건축물 보호각
20m
60° 
45° 
 
전기계량기 및 전기개폐기 - 가스계량기
굴뚝, 콘센트 - 가스계량기
60cm 이상
30cm 이상
가스배관과 전기설비와의 거리

에스컬레이터 30° 이하 / 30m/min 이하 
 
800mm형(800형) 엘리베이터
1,600mm형(1,200형) 엘리베이터
6,000인/h
9,000인/h
 
A4 210 X 297  
도면용지의 윤곽
철할때 
철하지안을때


25mm
A4~A2 : 10mm
A1~A0 : 20mm
 
1종 점토벽돌 압축강도 :  24.50N/㎟   
16m 축척 1/200 도면 도면 길이
- 1m = 100cm
- 100cm x 16 = 1,600cm = 16,000mm / 200mm = 80mm(8cm) 
8cm

 
콘크리트 푸아송비
강의 푸아송비
0.1 ~ 0.2
0.2 ~ 0.3
 
세면대 높이 750mm ~ 800mm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글/그림 : 이재인

발행부서 : 서울특별시 주택건축본부 건축기획과
발행일 : 2020년 11월
발행인 : 서울특별시장

 

= 대용량 사이즈 (260MB)

 

https://drive.google.com/file/d/1loLt2QHL5Eg8Zu76lF7q4lJJ9NOztT-Y/view?usp=drive_link\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아래 이미지 및 설정자료 등 은 순수하게 개인적인 공부를 위하여 일반 개인, 사업자 등의 게시물을 일부 복제한 경우로 혹시나 저작권의 침해가 있다고 판단되시는 경우 글을 남겨 주시면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제도규약

 

켄트지 트레이싱 (투명성이 높은 종이) 트레팔지 (비닐 재질로 물과 기름에 강함, 빛 반사시켜주는 용지로도 사용)

 

  • 제도 용지
  • 가로:세로 2:1 (긴부분이 2)  (큰)도면을 접을때는 A4기준으로 접음

 

 

  • 묘사기법
단선에의한묘사 선의 종류와 굵기에 따라 단면선, 윤곽선, 모서리선, 재료와 변화선 등을 묘사가 가능, 선의 굴기에 유의해야 하며, 명확한 선이 되도록 주의한다. 굵은 선을 윤곽선을 강하게 묘사하면 공간상의 입체를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여러선에의한묘사 선의 간격에 변화를 주어 면과 입체를 표현, 평면을 같은 간격의 선으로 묘사하여 선의 간격을 달리하면 곡면을 나타낸다.
단선과명암에의한묘사 선의로 공간을 한정시키고 명암을 음영을 넣는 방법, 일반적으로 그림자는 표면의 그늘보다 어둡게 묘사한다.
점에의한묘사 여러 점으로 입체 면이나 형태를 나타내고자 할때에는 각 면의 명암차이를 표연하고 점을 촘촘하게 찍거나 느슨하게 형태의 변화를 준다.

 

 

테두리선(도면의 윤곽)의 간격 변경

■ 테두리선의 간격(도면의 윤곽) 변경이 되었습니다. KS 예전규정은 최소가 A0, A1, A2용지: 10mm이상 이고 A1, A2, A3용지: 5mm이상 이었습니다 지금은 KS A0106에서 최소가 A0, A1- 20mm이상이고 A2, A3, A4가 1

m.cafe.daum.net

  • 투시도

  • 투시도 : 보이는 대로 / 투상도 : 상상에 의한
1점투시도 2점투시도
3점투시도 투시도

 

https://brunch.co.kr/@jhcolour/303

 

 

 

https://blog.naver.com/metalzon79/220265093420

 

https://sky3221205.tistory.com/437

 

창호의 종류

콘크리트로 된 구조체 공사가 완료되면 제일 먼저 창이나 문 같은 개구부의 치수를 재야 합니다. 내부 마감공사를 할 때 창문이 없는 상태에서 진행하면 비바람이 들이쳐서 내부 마감을 다시 해

archi-material.tistory.com

 

  • 설계도면 표시기호 

 

  • 석재의 재표 기호(단면용)

 

  • 창호의 종류

 

  • 평면기호

 

여닫이
 

미닫이



미서기  

 

  • 평면기호 ii

 

  • 이형철근(D) vs 원형철근(Φ)
  • 이형철근 직경이 13mm 이고 배근 간격이 150mm 일때 도면 표시범
  • 배근 :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배치하는것
  • D13@150

  • 선의 종류

  • 선의 용도
  • 외형선, 단면선 > 기준선, 절단선, 숨은선, 경계선, 가상선 > 중심선, 치수선, 치수보조선, 지시선, 해칭선
  • 중심선 : 가는 1점 쇄선 : 
  • 실선, 파선, 일점쇄선, 이점쇄선, 치수선, 단면선, 외형선, 파단선, 치수선, 지시선, 해칭선, 숨은선, 중심선, 절단선, 경계선, 기준선, 가상선, 대지경계

 

  • (참고) 파단선

  • 도면기호

  • 평면 표시방식

  • 투상 및 투영법 (평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저면도, 정면도)
  • 투상법의 이해

 

건축도면 
 

한 번에 알아보는 건축 도면의 종류 총 정리!

INTERIOR DESIGN 건축도면 종류 설명 감각적인 디자인, KELTIST STUDIO입니다....

blog.naver.com

 

  • 건축설계 단계 (기획 - 설계 - 시공)
구분 내용 주체
기획(계획) o 건축의 목적이나 의도를 고려하여 설계와 시공과정의 방향을 결정
o 구상도, 조직도/기능도, 동선도, 면적도표
건축주
설계 o 계획단계에서 고려한 내용을 바탕으로 세부사항을 결정하고 구조물의형태를 도면에 표현   건축가(설계자)
기획설계
(기본설계)
설계자의 의도를 전달하기 위하여 설계도면과 시방서 작성
o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단면상세도, 전개도
설계 실시설계 시공에 필요한 도면 작성
o 구조평면도, 기초/기둥/벽/보/바닥판/일람표 도면, 골조도, 각부상세도, 전기설비계통도, 위생설비계통도, 냉난방설비계통보, 환기설비계통도,승강기설비계통보
시공 o 작성된 최적의 공사비와 기간 내에 안전하고 합리적은 건축 구조물 생산 건설공사(건설사)
계획
설계도
구상도, 조직도/기능도, 동선도, 면적도표  
기본
설계도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단면상세도, 전개도  


실시
설계도
구조평면도, 기초/기둥/벽/보/바닥판/일람표 도면, 골조도, 각부상세도, 전기설비계통도, 위생설비계통도, 냉난방설비계통보, 환기설비계통도,승강기설비계통보  


 

 

 

  •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건축도면 기준)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 배치도

 

  • 투시도

  • 평면도

  • 점(0차원) -> 선(1차원) -> 면(2차원) -> 공간(3차원)

 

 

  • 입면도 : 건축물의 외부에서 보는 

 

 

  • 전개도 : 건축물의 내부에서 보는(각 벽면을 그리는 입면도, 벽의 형상, 치수, 마감상태)

  • 단면도

  • 조감도

  • 배근도(철근, 철골의 구조를 표시)

 

 

  • 척도 : 축척, 실척, 배척

  • 계단용어
  • 디딜판, 계단참, 챌판, 난간(핸드레일), 논슬립

 

 

에스컬레이터 관련 용어

에스컬레이터 관련 용어 에스컬레이터는 철골구조의 트러스를 상하층 바닥고에 걸쳐 설치하고 그 안에 좌우...

blog.naver.com

 

  • 인레트스위치 : 핸드레일과 스커트 사이에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브러쉬 인입구에 이물질 등이 빨려 들어갈경우 중단

 

  • 지붕  경사도(물매) 조건 : 지붕의 재료와 기후에 영향을 줌
  • 된물매 :  45도 각도 이상
  • 되물매 : 45도 각도 
  • 평물매 : 45도 각도 이하

 

  • 탑라이트

 

 

옴의 법칙 
  • https://javalab.org/ohms_law/
  • 회로에 저항이 흐르는 전류(물)의 크기는 전압(수압)의 크기와 비례하고 저항(수류.배관)과는 반비례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아래 이미지 및 설정자료 등 은 순수하게 개인적인 공부를 위하여 일반 개인, 사업자 등의 게시물을 일부 복제한 경우로 혹시나 저작권의 침해가 있다고 판단되시는 경우 글을 남겨 주시면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건축계획) 배치
통일 o 공통 요소에 의해 전체가 일관되어 보이는 것, 서로 다른 요소들이 서로 어울리게 관계되어 하나로 결합되는 특성
o  건축물에서 공통되는 요소가 있을 때 건축물 전체를 일관성 있게 보이도록 하는것   
균형 o  어느 한쪽에 기울지 않고 시각적 안정감, 평형상태 
o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 사이에 시각적으로 힘이 기울거나 치우치지 않아 쾌적한 느낌을 주는 것.
대칭 o  중앙 수직축을 중심으로 거울에 면하듯 양쪽이 똑같은 위차와 형태로 반복, 자연의 형태와 인공적 형태
비례 o  크기와 비율, 황금비 1:1.618
조화 o  상호관계를 맺어 어울림 만듬, 서로 분리되거나 배척되지 않고 통일되어 미적효과
o  건축물의 부분과 부분 및 부분과 전체 사이에 안정되어 있는 관련성을 주며, 서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효과.
유사 o  서로 비슷한 것끼리 모아 변화감이 있으면서도 통일감
대비 o  성질이 대조적인 요소 짝지어 구성, 서로 상반되는 것끼리 조화를 이루는 것
변화 o  건축물에서 색깔이 달라진다거나, 외관에서 직선이 이어지는 부분에서 곡선이 나타나는 등의 건축 계획 상의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변화를 나타내는것.
리듬 o 부분과 부분 사이에  시각적으로 강하고 약한 부분이 규칙적으로 연속시켜 표현할 때 나타나는 것

 

  • 해깔리고 비슷한 형태
문제 정답 키워드
건축형태의 구성원리 중 일반적으로 시각상의 힘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시각적인 안정감을 이루며 평형상태를 느끼게 하는 것(시각적 무게의 동등한 분배) 균형  
건축형태의 구성원리 중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요소들의 반복으로 디자인에 시각적인 질서를 부여하여 통제된 운동 감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리듬 통제된 운동감각
(운동신경 좋아 리듬잘타네)
o 공동운명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o 유사한 배열로 구성된 형들이 방향성을 지니고 연속되어 보이는 하나의 그룹으로 지각되는 법칙을 말한다.
연속성 유사한 것들이 연속되어 보이는=지각
(유사형 아님)
디자인의 기본 원리 중 성질이나 질량이 전혀 다른 둘 이상의 것이 동일한 공간에 배열될 때 서로의 특징을 한층 돋보이게 하는 현상 대비 서로의 특징을 돋보이게
(대비 = 강조 아님)
o 인간이나 다른 주체의 힘이 작용하지않은 자연 그대로의 형태  자연적형태  
o 인간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자연적 형태의 반대 인위적형태  
o 인간의 지각, 즉 시각과 촉각 등으로 직접 느낄수 있는 형태
o 인간의 지각, 시각, 촉각 등을 느낄수 있는 형태
현실적형태 직접느낄수
o 인간의 지각, 즉 시각과 촉각 등으로는 직접 느낄수 없고 개념적으로만 제시할수 있는 형태이다.
o 기하학적으로 접근한 점, 선, 면 등이 이에 속한다. 
이념적형태 직접느낄수 없고,
기하학적 형태
o 구체적 형태를 생략 또는 과장의 과정을 거쳐 재구성한 형태이다.
o 대부분이 경우 재구성된 원래의 형태를 알아보기 어렵다
추상적형태 원래의 형태를 알아보기 어렵다

 

 

 

 

온도 (온도의 3요소 온도,습도,기류,)
  • 유효온도(실감온도) ET : 온도, 습도, 기류
  • 수정유효온도(CET) : 온도, 습도, 기류, 복사

 

 

색깔의 구분
 

색채대비와 조화[동시대비/계시대비/연변대비/한난대비]

'색채대비' 색채대비란 어떠한 색이 다른 색과 함께 놓일 때 색채 간의 차이를 느끼고 다른 색의...

blog.naver.com

 

연변대비
o 경계면이 더욱 뚜렷하게 보이는 현
한난대비
o 차가운 색과 따뜻한 색이 대비되어 서로 영향을 주어 한색은 좀더 차갑게, 난색은 좀더 따뜻하게
보색대비
o 서로 상대방 색이 더 강하게 드러남
채도대비
o 채도가 높은 색은 더욱 높아 지고, 채도가 낮은 색은 낮아 보이는 현상 
명도대비
o 밝은 색은 더욱 밝아 보이고 어두운 색은 더욱 어두워 보이는 현상
난색 따뜻한
(식당)
중성색  

한색 차가운,시원

 

  • 메탈할라이드 램프 (휘도가 높다, 시동전압이 높다. 조명효율이 높고 연색성이 뛰어나다. 배광제어가 용이하다)
  • 휘도( 물체로부터 복사되어 보이는 빛의 발기)
  • 연색성(Color Rendering index) : CRI가 높을수록 원래의 색을 더 정확하게 표현

 

건물의 규모, 구조, 층수
  • 건물면적(100㎡) / 수평투명 : 하늘에서 아래로 봤을때 건물이 가리고 있는 면
  • 대지면적(1,000 ㎡)
  • 건물층수 10층
  • 건폐율(%) = (건물면적 / 대지면적) X 100 = 10%
  • 연면적 = 건물면적(100 ㎡) X 10층 = 1,000 ㎡
  • 용적율(%) = (연면적 / 대지면적) X 100 = 100%

(아래그림 출처) https://blog.howbuild.com/post/18

 

5강: 건축제한사항(1) 도로, 건폐율, 용적률

건축을 할 수 있는 토지와 없는 토지. 건축제한사항에 대해 알아봅니다.

blog.howbuild.com

 

  • 열관류 현상
  • 열전도 : 열이 고온 부분에서 저온 부분으로 중간 물질을 통해서 이동하는 것(앞쪽 표면에서 뒤쪽 표면으로 전달)
  • 열관류 : 고체면 양쪽에 유체가 붙어 있을때 높은 온도 쪽에서 고체면을 거쳐 낮은 온도 쪽 유체로 열이 옮겨가는 현상
  • 열관류 저항값 적다 : 저항을 못하기 때문에 단열이 안된다
  • 열관류율 높다 :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단열이 안된다.
   
O 열전도 :   (단위 : kcal/ m h ℃) / 거리
   - 두께 1m, 면적 1㎡ 인 재료의 앞쪽 표면에서 뒤쪽
    표면으로 1 ℃의 온도차로 1시간 동안 전달된 열량


O 열관류 :   (단위 : kcal/ ㎡ h ℃) / 면적
   - 단위시간에 1 의 단면적을 1 ℃의 온도차가 있을때
    흐르는 열량
    열전도율 / 두께 = 열관류율
열전도율 열관류 율

두께의 변화에 영향이 없다

두께의 변화에 영향이 있다.

 

 

색의 세계를 탐색하는 먼셀의 색입체와 색상환

리가 보는 모든 사물과 이미지는 색을 통해 다양한 감정과 인식을 불러일으킵니다. 이러한 색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작하기 위해, 색을 체계화하고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들이 개

lucia.tistory.com

 

 

  • 빛의 단위
광원 360 방향 광원이 있을때 광원이 내는 빛의 총 양 루멘(lm), lumen)
광도 한방향으로 보았을때의 빛의 밝기 칸델라(cd), candela
조도 일정 거리 떨어진 물체의 평균 밝기 룩스(lx), lluminance
휘도 물체로부터 복사되어 보이는 빛의 발기 니트(nt), liminance

 

  • 주거공간

 

  • 동선의 3요소 (길이=속도, 빈도, 하중) * 방향은 해당안됨

 

  • 아파트 평면 
  • 편복도~중복도(복도)
  • 중앙코어형(집중형)

 

 

판상형 아파트 와 타워형 아파트는 무엇이 다른가?

아파트는 단위세대의 조합 형태에 따라 판상형, 타워형(탑상형)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지며,"판상형"과 "...

blog.naver.com

 


 

 

  • 주방형태
1자 주방 L자형, ㄱ자형 주방

ㄷ자형 (병렬형)  + 아일랜드 형  

 

  • 단독주택 vs 공동주택
구분 종류 층수          
단독주택
(단다다공)
단독주택 단일 무제한      

다중주택 3개층 이하 330㎡ 이하 비독립형
(공동취사시설)
기숙사,
고시원
 
다가구주택 3개층 이하 660㎡ 이하 독립형 원룸,빌라 건물
소유자1명
공간          
공동주택
(아연다세기)
아파트 5개층 이상       개별소유
연립주택 4개층 이하 660㎡ 초과     개별소유
다세대주택 4개층 이하 660㎡ 이하     개별소유
기숙사          
  • 공동주택의 인동간격 : 일조, 채광, 통풍

 

 

메조넷형과 스킵플로어형은 무엇인가?!

메조넷형과 스킵플로어형은 무엇인가?! 오늘은 건축설비에서 아파트 단면의 형식에 따라 분류되는 메조넷형과 스킵플로어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은 개인프라이버시와 나만

earnings-surprise.tistory.com

구분    
메조넷형 평면이 2개면 듀플랙스, 3개층이면 트리플랙스 O 장점 : 전용면적 증가, 엘리베이터 정지청수 반감
O 단점 : 소규모 주택 비경제적, 설계 복잡
스킵플로어형 주거 단위 단면을 복층형의 동일층을 택하지 않고 반층씩 어긋나게 배치, 2층 4층 마다 복도를 설치하여 엘리베이터가 격층으로 운행 O 장점 : 단위 세대의 진입이 매층마다 없으므로 프라이버시, 엘리베이터 층수 줄임, 전용면적 증가,
O 단점 : 비상시 대비 곤란, 소규모 주택에는 비경제적

 

  • 스킵플로어형

  • 건축의 종류

01. 신축
-건축물이 없는 대지(기존 건축물이 철거되거나 멸실된 대지를 포함)에 새로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부속건축물만 있는 대지에 새로 주된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을 포함하되, 개축 또는 재축하는 것은 제외한다)을 말한다.

02. 증축
-기존 건축물이 있는 대지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 연면적, 층수 또는 높이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
-건축물의 높이를 단순히 증가시키는 것도 증축에 해당하며, 하나의 대지 안에서 기존 건축물에 붙여서 또는 별도로 떨어져서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도 증축에 해당한다.
-주된 건축물이 있는 대지 안에서 부속건축물을 짓거나 담장 등 부수되는 시설을 짓는 것도 증축에 해당한다.

03. 개축(철거)
-기존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내력벽, 기둥, 보, 지붕틀 중 셋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를 말한다)를 철거하고 그 대지에 존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을 말한다.

04. 재축(멸실)
-건축물이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재해로 멸실된 경우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다시 축조하는 것을 말한다. 

05. 이전(이축)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해체하지 아니하고 같은 대지의 다른 위치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06. 대수선
-내력벽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그 벽면적을 30m2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기둥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세 개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지붕틀(한옥의 경우에는 지붕틀의 범위에서 서까래는 제외)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세 개 이상 수선 또는 변경
-방화벽 또는 방화구획을 위한 바닥 또는 벽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주계단,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미관지구 안에서 건축물의 외부형태(담장 포함)를 변경하는 것
-다가구주택의 가구 간 경계벽 또는 다세대주택의 세대 간 경계벽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를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벽면적 30m2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07. 리모델링 
-주택법에 따라서 건축물 노후화 억제나 기능향상 등을 위한 공사.

08. 용도변경 
-사용승인을 받은 건축물의 용도를 필요에 의하여 다른 용도로 변경하는 행위를 말한다.

 

  • 주택 실구성 형식

 

건축계획-Dining room

*일부 이미지와 글은 출처가 있는 저작권물입니다.   이 글에 인용된 저작권물들의 출처는 글 마지막...

blog.naver.com

 

  • 다이닝 키친(DK) : 부억일부에 식사실 마련, 주부 동선이 짧음, (거실과 분리, 부억, 식사실 겸용)
  • 다이닝 엘코브(LD) Dining Alcove) : LD(Living Dining, 리빙 다이닝), 식사실과 거실을 일체화한 공간)
  • 리빙키친(LDK) : Living Kitchen : 부억, 식사실, 거실 (가사작업의 단순화, 아파트와 소형주택에 적합한 형태) 동선 짧아 공간 이용율 좋음, 부억 조리 등 냄새의 배기 등 설비 필요
  • 다이닝 테라스(DT, Dining Terrace), 다이닝 포치(Dining Porch) : 건물 바깥

 

  • 선의 느낌

 

통기방식

  • 각개통기방식 :각 기구의 트랩마다 통기관을 설치한다. 트랩마다 통기되기 때문에 가장 안정도가 높은 방식이다.
  • 루프통기방식(회로통기방식)
  • 신정통기방식
대변기
플러쉬밸브
(세정밸브)
연속사용이 가능,
다중이용시설에 사용
세정밸브 관경은 25mm 이
일반대변기
(원피스/투피스 대변기)

일반 가정용

하이밸브식
대변기
  낙차에 의한 수압으로 대변기를 세척

 

  • 숑바르 드 로브의 면적 기준 (병한표 81416)
  • 병리기준 : 8㎡
  • 한계기준 : 14
  • 표준기준 : 16 
냉난방 및 공기조화 설
조화방식 분류 (개별식, 중앙식 공기조화) 급탕방식 (개별식, 중앙식 급탕방식)
  • 급탕방식(개별식) 순간식, 저탕식, 기수혼합식


  • 급탕방식(중앙식) 직접가열식, 간접가열식



보일러에서 온수를 가열하여 저탕조에 저장한후 공급 보일어에 증기로 저탕조(팬코일)에 물을 가열하여 공급

 

 

급수방식

  2-2 급수방식과 배관법   2-2-1 급수방식   건물 내의 각 장소에  물을 공급하...

blog.naver.com

 

 

 

 

배수트랩
P트랩 벽체 내 배수관에 접속, S트랩보다 봉수에 안전


S트탭 세면대, 배변기, 사이펀 작용으로 봉수 파괴가능성 높음
U트랩 가로 배관에 사용하여 유속을 저해하고 하수가스의 역류를 방지
밸트랩 욕실바닥
보틀트랩  
드럼트랩 싱크대

 

  • 배수설비에 사용되는 포집기
그리스포집기
레스토랑, 주방 등에 배출되는 배수 중의 유지분을 포
오일포집기
 
건축조명
  • 건축화조명
코브 조명  루버 조명

코니스 조명 광천장 조명

펀던트 조명 각종 조명

루버 조명의 형태

 

 

 

조명의 배광 형태 알아보기

이전 포스팅에서는 조명기구의 선택과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했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소개할 주제는 배광 형태이입니다. 배광 형태는 크게 간접조명, 반 간접조명, 전반 확산 조명, 반 직접

spaceinj.tistory.com

 

 

배선

 

버스덕트 금속관 공사

 

  • 전류
구분 저압 고압 특고압
직류 1.5kV 이하 1.5kV 초과, 7kV 이하 7kV 초과
교류 1kV 이하 1kV 초과, 7kV 이하  
  • 직류와 교류

 

  • 가스계량기 설치기준
가스계량기 가스배관 이음매
(용적 이음매 제외)
전기계량기, 전기개폐기 전기점멸기 전기접속기


가스계량기와 가스배관 이음매와 거리  60cm 이상 거리 유지 30cm 이상 거리 유지

 

  • 간선배선 방식(개별, 병용, 나뭇가지)

소화설비

 

 

소방안전 웹진 마음으로 전합니다 VOL.05

소방기술영상에서 네 번째로 소개드릴 소방시설은 바로 ‘스프링클러설비’입니다. 스프링클러설비는 물을 소화약제로 쓰는 자동식소화설비인데요. 소방대상물의 천장, 벽 등에 설치돼 있는

www.kfsi.or.kr

  • 폐쇄식 : 습식,건식, 준비작동식
  • 개방식 : 일제살수식

  • 스프링클러 1차측 2차측
  • 폐쇄형 - 습식 스프링클러 (2차 벨브에 물이 차있음)
   
  • 폐쇄형 - 건식 (2차 벨브에 압축공기나 축압된 공기가 차있음)

 
  • 폐쇄형 - 준비작동식 (2차 밸브에는 대기압 상태의 공기가 차있음)
 
  • 개방형 -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
 
  • 드랜처 설비 : 인접 건물의 화재 시 화재 방지하는 시설(수막을 형성하여 화재를 방지)

  • 소화설비

 

  • 소화설비
물분부등소화설 옥내소화전함
  • 소화활동설비
연결송수관설비
(1층)
연결살수설비
(지하층)
제연설비 연소방지설비
 

 

  • 연기감지
온도 정온식 정해진 온도이상 올라갈 경우 감지  
차동식 화재시 급격하게 온도가 올라가면 감지  
보상식 정온식 + 차동식 기능 갖춘것  
연기 광전식 연기가 들어와 적외선발광을 산란시키면 감지  

 

승강설비

 

  • 컨베이어의 종류
  • 수평 : 롤러(물체를 굴러), 에이프런(물체를 벨트에 놓아 운반)

벨트 또는 체인컨베이어 에이프런 컨베이어 버킷컨베이어 롤러컨베이어





공항벨트컨베이어 트롤리 컨베이어    
   
  • 직류 교류 엘리베이터
  • 교류 : 속도조절 불가
  • 직류 : 속도조절 가능

  • 유압식 엘리베이터 / 로프식 엘리베이터
   

 

  • 엘리베이터 수송능력
  • 1200mm (1계단에 2명 탑승) 

 

상품판매 전략
  • VMD(Visual Merchandising, 비주얼머천다이징) : 상품 정책과 다양한 상품전략을 매장에서의 시각적 제안과 연동시키는 실천 활동 (VP, PP, IP) / POP는 다른 뜻
VP(Visual Presentaion)
비주얼프리젠테이션
입구나 연결되는 통로 부분의 레이아웃
(무심코 들어가고 싶다)
 
PP(Point Of sales Presentation)
포인트프리젠테이션
추천상품, 특히 판매하고 싶은 상품 픽업, 최대한 매력을 끌어내는 스타일링이나 코디네이션  
IP(Item Presentation)
아이템프리젠테이션
각각의 삼품을 분류/정리하는것
상품진열방법
 
POP(Point Of Purchase)
구매시점 광고 또는 판매시점 광
판매현장에서 충동구매를 유발하기 위한 광

 

 

펌프시설
    •  펌프종류 : 원심식, 왕복식
    • 급수펌프, 양수펌프, 순환펌프 : 원심식 펌프(주로 건축설비에 사용)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